나560 조직병리검사 [1장기당]의 수가 산정방법
나560 (Level A ~ Level D) 조직병리검사[1장기당]의 수가 산정방법은 다음과 같이 함.
- 다 음 -
가. 악성종양 위전절제술의 조직병리검사는 나560 라 (Level D) 의 소정점수를 산정하고, 동시에 췌장절제술, 비장절제술, 담낭절제술을 시행한 후 각각의 조직병리검사 시는 부수장기에 대한 검사이므로 나560다 (Level C) 의 소정점수를 장기별로 각각 산정함.
나. 악성 뇌종양수술후의 조직병리검사는 두 부위 에 각각 수술을 실시한 경우에는 2회 인정하며 한 부위에 실시한 경우에는 1회만 산정함.
다. 피부종양을 여러 부위에서 적출한 후 실시한 조직병리검사는 전신을 두부, 경부, 상·하·전·후 체간, 좌·우·상·하지, 회음부로 구분(11부위)하여 부위별로 각각 산정함.
라. 악성종양수술에서 림프절제술이 병행된 경우는 블록수를 합산하여 나560라 (Level D) 로 산정함.
(고시 제2017-265호, ’18.1.1. 시행)
나560 조직병리검사 [1장기당]의 양측장기, 인접장기 및 연결장기의 수가 산정방법
나560 조직병리검사[1장기당]의 양측장기, 인접장기 및 연결장기의 수가 산정방법은 다음과 같이 함.
- 다 음 -
가. 양측장기
1) 양측장기는 나560 (Level A~D) 조직병리검사의 소정점수를 양측으로 각각 산정함.
2) 갑상선, 편도, 성대, 혈관 수술 후 실시하는 나 560 (Level A~D) 조직병리검사는 양측의 파라핀 블록수를 합하여 나560 (Level A~D) 의 소정점수로 산정함. -> 양측산정하지 않는 케이스
나. 인접장기
1) 위풀씨 수술(Whipple's Op): 췌장, 담낭, 장 (Intestine)으로 각각 나누어 산정
2) 방광암 수술시 전립선, 위암 수술시 비장‧ 췌장‧ 간, 담낭절제술 시 담낭: 장기별로 산정
3) 비강과 부비동, 편도(Tonsil)와 아데노이드 (Adenoid), 두경부 악성종양 시 침샘, 신장 악성종양 시 부신: 한 장기로 산정
(Nasal cavity and sinus / Tonsil and adenoid / Head&Neck and submandibular gland / Kidney and adrenal gland)
4) 대망(Omentum), 복막(Peritoneum): 별도장기로 볼 수 없음. 다만 병변이 있어 단독 생검 시는 병리조직 검사를 산정할 수 있음
5) 자궁부속기(Adnexa of uterus, 동측 난소와 난관 등): 한 장기로 산정
다. 연결장기
1) 소화기관의 경우: 식도 Esophagus, 위 Stomach, 소장 Small intestine, 대장 Large intestine 4부분 으로 구분하여 인정
- 말단 회장(Terminal Ileum)의 경우 연결하여 절제되는 경우 대장과 함께 산정 = Right hemicolectomy
- 결장절제술시 결장(Colon), 맹장(Cecum), 회장 (Ileum), 직장(Rectum)은 한 장기로 산정
2) 요관(Ureter)같은 연결기관: 주 장기에 포함하여 한 장기로 산정
(고시 제2017-265호, ’18.1.1. 시행)
골수생검으로 조직을 채취한 후 골조직 병리검사를 시행한 경우 수가산정방법
골수생검으로 조직을 채취한 후 골조직 병리검사를 시행한 경우에는 검체가 일반적으로 장기조직이 아니므로 나560다 (Level C) 의 소정점수를 산정함.
(고시 제2017-265호, ’18.1.1. 시행)
'path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직검사학 - 침투~박절 (0) | 2022.08.03 |
---|---|
Level A~D (0) | 2020.11.16 |
병리수가 (0) | 2020.11.12 |
H&E Stain (0) | 2020.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