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 염색방법은 가장 일반적인(Routine) 염색법으로 병리조직표본이나 표본 전체를 개괄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염색 방법입니다. 사용되는 용액으로는 헤마톡실린(Hematoxylin)과 에오신(Eosin)이 사용이 됩니다.

헤마톡실린은 세포의 핵, 특히 핵 내의 염색질과 핵막을 염색하며, 핵의 핵질(nucleoplasm)은 염색되지 않은 채로 남기 때문에 염색질의 염색 패턴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에오신은 H&E 염색에서 대조염색제로 사용이 되면 헤마톡실린에 염색되지 않는 거의 모든 구조에 붉은색으로 염색이 됩니다.

<<H&E Staining의 원리(Principle>>

Hematoxylin이 산화제(mercuric oxide)에 의해 hematein이 생성.

(산화제: 공기, sodium iodate, mercuric oxide)

hematein + Aluminum(매염제) -> alum-hematein lake(가염상태)  형성

이 lake등 전점 pH2.9에서 양(+) 이온을 띠며 + 음(-) 이온으로 하전되는 DNA의 인산기와 결합하여 청색화 (Bluing) 됩니다.

반대로, 산성염료인 eosin은 등전점 pH.5.8에서 음(-) 이온을 세포질 내의 백질은 양(+) 이온으로 파전되어 이온결합을 하여 분홍색으로 염색됩니다.

헤마토실린(Hematoxylin)은 피나무의 심재에서 추출하는 염료는 hematoxylin, hematein 등의 혼합물로, hematein은 hematoxylin의 산화로 만들어집니다. hematein은 색깔을 띠고 있지만 잘 달라붙지 않으며, hematoxylin은 염기성 염료로 분류됩니다.

조직에서 인산기가 많이 들어 있는 세포 핵(DNA와 RNA는 당과 인산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염색체, 미토콘드리아 등을 청자 색으로 염색합니다.

에오신(Eosin)은 fluoresceion의 유도체로 산성 염료이기 때문에 염기성을 띠는 원자단과 결합하여 색깔을 내며 염기성을 띠는 원자단으로서 세포의 안 팎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단백질 아미노기를 염색 시킵니다. 염색한 후 세포질이나 세포 바깥 구조를 대비시키기 위해 에오신으로 대조 염색을 합니다.

<<H&E stain protocol>>

​ 

① 탈파라핀(Deparaffin):   Xylene에 넣고 5분, 3번  dipping

현미경 관찰을 위해서는 염색을 해야 하는데 염색약은 대부분 수용성 성질을 지니고 있어 소수성인 파라핀을 제거하는 과정입니다.

② Xyxlene 제거 및 함수:   100% EtoH -> 50% EtoH 순서로 각 단계마다 5분 dipping

자일렌을 제거하기 위해서 알코올로 제거하는 과정입니다.

③ 헤마톡실린 염색(Hematoxylin stain):   (Hematoxylin 용액에 1분 40초 dipping

조직 속의 여러 가지 물질들의 성질에 따라 핵을 염색하는 과정입니다.

④ 감별 탈색(Differentiator):    (0.3% Hcl-Alcohol로 1~2회 dipping)

0.3% Hcl-Alcohol로 1-2회 dipping 후 바로 흐르는 물에 수세한다.

오래 있을 경우 색이 빠져 감별할 수 없다.

⑤ 중화 현색(Blueing):   0.3% Ammonia Water 2-3회 dipping

0.3% Ammonia Water로 dipping 후 흐르는 물로 수세한다. Ammonia Water 대처 용액으로는 Scott tap water sk 1% lithium carnonate 용액을 사용하기도 한다.

⑥ 에오신 염색(Eosin stain):  Eosin 용액에 10~20 sec dipping

대조염색으로 사용하며, 헤마톡실린에 염색되지 않는 거의 모든 구조, 세포질을 염색합니다.

⑦ 탈수(Dehydration):    50% EtoH-> 100% EtoH 순서로 각 단계마다 3회 dipping

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알코올로 제거하는 과정입니다.

⑧ 투명(Clearing):   Xylene에 넣고 3분, 3번 dipping

탈수를 하기 위해 사용했던 알코올을 제거하는 과정이며, 봉입액과 물이 섞이면 뿌옇게 보일 수 있다.

⑨ 봉입(Mounting)

염색이 완료된 조직을 봉입제와 cover glass를 사용해 조직 표본으로, 정밀한 검사, 염색 퇴색 방지, 조직절편의 부패 방지, 물리적 손상을 막기 위한 과정입니다.

 

 

출처:

blog.naver.com/PostView.nhn?blogId=tjddud1727&logNo=221651889298&from=search&redirect=Log&widgetTypeCall=true&directAccess=false

'path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직검사학 - 침투~박절  (0) 2022.08.03
조직병리검사 세부사항  (0) 2020.11.16
Level A~D  (0) 2020.11.16
병리수가  (0) 2020.11.12

+ Recent posts